본문 바로가기
기획전

매출액의 착각

by 타우군 2022. 12. 19.

매출액의 착각

오늘은 사업을 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를 짚어보려고 합니다

출처 : burst.shopify.com

개인 사업자 대부분은 매출액만 보는 경향이 심한데 특히 사업 초기의 사장들은 더욱 그렇습니다.

집안 가계부를 작성할 때도 수입보다는 지출이 더 중요하듯이
월간 고정비와 변동비를 잘 파악해서 현재 수익이 나고 있는지?

아니면 손실이 나고 있는지? 수익이 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인건비는 포함이 되어 있는 건지? 이런 부분을 잘 판단해야 합니다.
아래의 예시는 일반적인 케이스이긴 하나
회계기준이 아닌 현실적인 아낄 수 있는 비용과
그렇지 않은 비용으로 구분했습니다.

 

고정비

월세

월간 고정비로는 가장 큰 비용이 월세와 관리비일 것입니다.
아무리 작은 규모로 시작한다고 하더라도
월세와 관리비만 합쳐도 100만 원에 가깝거나
그 이상이 지출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매출이 없는 초반에는 매우 큰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사무실마다 다르겠지만 작은 가게는 월 3~50만 원부터 시작합니다
비싼 곳은 월 1,000만 원 이상 지출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관리비

관리비는 상황에 따라 다른데 전기세, 수도세 등의 공과금만 납부해도 되는 경우도 있고
아파트처럼 건물 관리비가 부과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에 가게 운영하기 위한 인터넷 사용 비용 등이 추가 될 수도 있습니다.

감가상각비

가장 큰 금액을 차지하는 부분 중의 하나입니다.
초기 투자 비용을 감가상각해서 처리하는 방법인데
보통 인테리어비용+집기류를 포함한 초도 물품 비용을
기한으로 나눠서 1년 단위로 소비하는 방식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투자금 회수를 위해서 5~7년을 기준으로 잡고 회계상 비용처리를 통해서 손익 분기점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급여

위에도 언급했었지만 1인 사업을 하거나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하는 사람들은 급여에 대해서 생각을 안 합니다.
'내가 직접 일하면 되지'라는 생각을 많이 하는데 내가 일하는 것도 인건비입니다.
어딘가에 가서 일을 한다면 최소한 벌어들일 수 있는
기회비용을 포기하고 사업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 급여에 대한 계획도 있어야 합니다.
초창기에는 사업이 성장을 해야 하니 적은 급여를 받는다고 생각하고
움직여도 되지만 나중에는 충분히 일한 만큼의 보상에 대한 목표가 있어야 합니다.
(현재 외부에 나가서 일을 할 경우 받을수 있는 페이 수준 최소 최저임금 이상)

식대

요즘 만원으로 점심 먹기 힘든 시대가 왔습니다.
물가는 꾸준히 올라 어지간한 음식들은 기본 만원부터 시작이라고 봐도 무관합니다.
1회 식대 평균액을 만원으로 가정하고
하루에 1끼씩 보통 월평균 22일 정도 일을 하니
한 달에 22만 원이고, 만약 야근을 절반만 한다고
가정하더라도 33만 원이 지출되는 것입니다.

세금

초짜 사장들이 많이 놓치는 부분 중에 세금이 있습니다.
특히 매출은 월에 1,000만 원씩 찍고 있는데
정산해 보면 남는 게 없다는 이야기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가장 큰 원인 중 하나가 세금 부분에 대한 계획이 제대로 안 서 있어서
그런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보이는데
세금 납부는 목돈이 나가는 부분이기에
월간 매출액 대비 일정 금액은 세금용으로 빼놔야 합니다.
(최소 매출액 대비 10%)

기타

그 외에 이자, 보험료 등이 더 있지만 일반 사업하는 분들은 해당 지출이 없는 경우도 많기에 기타로 빼두었습니다.

변동비

재료비

판매하는 상품에 따라 다르겠지만
음식점을 예로 들자면 음식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비를 칭합니다.
이는 원가를 산정하기 위한 방식에 필요한 내용으로 매출하고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업종별로 재료비가 없는 업종도 있습니다

비품

사무실을 운영하다 보면 은근히 비용이 많이 들어갑니다.
프린트할 잉크, 출력될 A4용지, 화장실이나 일상적으로 사용할 휴지,
물티슈, 간식 등등 사무용품에서부터 시작해서 간식까지
예상보다 큰 비용이 지출됩니다.
아무리 작게 잡아도 인당 몇만 원씩은 사용하게 됩니다.

 

위에 고정비 항목에 식대나 세금은 사실 고정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적어둔 것인데
고정비는 매출이 없더라도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을 고정비로 이해하시면 되고
그 외에 나머지는 변동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감가상각비나 세금, 급여, 재료비 같은 경우에는
초보 사장님들도 알아야 하는 내용이라서 적어둔 것이고
나머지는 회계가 아닌 실무상에서 이해하기 좋게 작성해 두었습니다.

728x90

댓글